본문 바로가기

연구하기28

박사학위 연구의 주도권 보통 교수는 학생에게 연구 주제를 주거나 흥미로운 논문을 건네주면서 학생들에게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연구실 프로젝트 주제가 자연스럽게 학생의 졸업 논문 주제가 되기도 합니다. 졸업 연구주제를 정하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기 때문에 그리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연구주제 정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박사학위 연구의 주도권을 누가 쥐느냐입니다. 석사과정과 박사 초년차까지는 지도교수가 학생을 끌고 가지만, 그 이후에는 학생이 지도교수를 끌고 가야 합니다. 지도교수의 상황을 파악해 보면 왜 그래야 하는지 쉽게 이해가 됩니다. 교수는 연구만 하지 않습니다. 강의와 교내외 활동, 행정업무가 많습니다. 그래서 학위와 포닥과정에 비해서 최신 논문을 읽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 2024. 2. 13.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교수업적 평가를 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학술 DB 사이트 두 곳에서 매년 최상위 연구자 통계를 발표합니다. 클래리베이트,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2023 Highly Cited Researchers’ 리스트 발표 - Clarivate - Korea 클래리베이트,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2023 Highly Cited Researchers’ 리스트 발표 - Clariv 10개 국가 및 지역에서 전체 선정자 중 80% 이상 차지 (2023년 11월 15일) – 세상을 변화시키는 정보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 클래리베이트(Clarivate Plc, NYSE:CLVT)가 전 세계 대학 및 연구, 상업 기 clarivate.com 클래리베이트에서는 상위 1% 연구자를 발표하고 있습니.. 2024. 1. 26.
박사 졸업 기준 우리 학과 박사 졸업 기준 논문 편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환경분야 기준은 SCIE 저널 논문 주저자 2편(환경과학)과 3편(환경공학)입니다. 최소한 이 정도 게재 실적과 투고 중이거나 투고 예정인 논문이 몇 편 있어야 완결된 학위논문으로 작성할 수 있는 분량이 되고, 향후 학생 진로를 고려하여 학과 내규로 정한 기준입니다. 연구중심대학에서 이 정도로 실험 기자재와 인건비 지원을 받으면서 4~6년 박사연구를 했는데 학위 수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면 지도교수의 답답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간혹 논문 기준 충족했으니까 졸업시켜달라는 학생들도 있는데, 박사학위 논문으로서의 완결성, 실질적인 논문 작성 실력, 발표 능력, 새로운 연구제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졸업 시기를 고려합니다. 이 정.. 2023. 11. 12.
대기오염 추세 제대로 해석하기 박사과정 학생 논문을 고치는데 몇 주가 넘어가고 있습니다. 빨리 수정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자료 해석에 문제가 많아서 일일이 원본 자료(raw data)를 들여다 보면서 제대로 해석한 것인지 확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장만 조금 다듬어서 투고를 해도 심사자나 대부분의 독자는 모르고 넘어갈 것 같지만, 잘못된 것을 알면서 그냥 넘어갈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문제가 반복될 것 같아서 자료를 해석하는 예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보통 황사는 봄에 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봄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 수정하는 논문에서도 2019년 봄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이유를 황사 때문이라고 (주저자 학생이)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3월에 PM2.5 농도는 꽤 높았지만, PM10 농도는 겨울에.. 2023. 11. 7.
JCR 환경과학 분야 학술지 현황과 우리 연구실 투고 가능 학술지 Clarivate의 Jounral Citation Reports (JCR)에 등재된 2023년 Environmental Sciences 분야의 국제학술지는 총 330개입니다. 예년과 달리, SCIE 학술지와 ESCI 학술지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대기환경학회에서 출판하는 국제학술지인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이 ESCI에 포함되고, 인용지수(IF)는 1.5로 공개되었습니다. ESCI 설명: 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 - Wikipedia ESCI는 SCIE로 가는 전 단계라고 생각하면 되며, 상대적으로 IF가 낮습니다. 환경과학 분야 330개 학술지 중에서 IF 기준으로 1, 3, 4위는 Nature 자매지인데 국내 환경오염.. 2023. 10. 1.
캘리포니아 대기오염물질 측정자료 다운로드 사이트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 사이트입니다. Homepage |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Homepage |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ww2.arb.ca.gov 지점별 오염물질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r Quality Data (PST) Query Tool (ca.gov) 미국 환경청 사이트입니다. Air Data: Air Quality Data Collected at Outdoor Monitors Across the US | US EPA 2023. 9. 18.
환경분야 SCI 저널 IF 변화 매년 환경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IF)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제가 논문을 게재하는 학술지 분야는 대부분 "환경과학" 분야입니다. 일부 학술지는 지구과학과 기상학 분야에도 속합니다. 대학원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했고, 지금도 공대에 재직하고 있지만 연구 분야 자체만 보면 공학보다는 이학에 해당하는 연구를 많이 하므로 환경과학 관련 학술지에 논문을 제출합니다. 제가 학위 과정과 포닥 중에 생각했던 좋은 학술지는 권위있는 학회(미국 화학회 ACS, 미국 지구물리학회 AGU,유럽 지구과학회 EGU)에서 출판하거나 Elsevier와 같은 거대 출판사에서 출판하는 수십 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학술지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대학원에 입학하고 지난 24.5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제가 석사과정에는 논.. 2023. 7. 28.
부정직한 대학원 지원자 제가 대학원에 진학할 때는 학부 입시와 같이 대학원 입시도 경쟁률이 높았고, 아무리 상위권 학부 출신이어도 대학원 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학과 단위별로 영어, 학점, 면접을 보고 합격생을 대상으로 연구실을 선택했기 때문에 학점이 낮으면 자대생이라도 대학원 진학이 어려웠습니다. 요즘은 이공계 대학원에 입학하기가 예전보다 수월합니다. 상위권 한국인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이런 현상은 계속 심해져서 이공대 대학원의 50% 이상이 외국인으로 채워질 날이 머지않았습니다. 실제로 지방대 연구실에서 외국인이 더 많은 사례가 속출합니다. 최근 대학원 입시에서는 미리 진학 희망 연구실 교수에게 연락하고 어느 정도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상태에서 입시를 진행하는 경우가 .. 2023. 7. 5.
연구과제(프로젝트) 수주에 대해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공대 박사과정 고년차 학생 상당수는 연구과제 제안서를 주도적으로 작성한 경험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안서를 작성하려면 해당 연구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잘 알아야 합니다. 학술지 논문의 서론을 작성할 정도로 해당 연구내용을 숙지하면 제안서를 충실히 작성할 수 있습니다. 연구제안서는 설득이 목적입니다. 왜 이 연구주제가 중요한가? 선행연구의 한계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 새롭게 시도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답이 있어야 합니다. 결정적으로 정부 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할 정도로 학술 가치와 파급효과가 있는 주제여야 합니다. 그냥 본인 혼자 관심 있고 재밌는 주제라면 연구비를 받기 어렵습니다. 사실, 제안서를 잘 작성하더라도 과제를 수주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 2023. 4. 4.
대학원생 지도 방식 교수마다 지도방식이 아주 다르기 때문에 학생은 지도교수의 성격과 실질적인 지도 방식을 잘 알아야 합니다. 보통 1~2년 정도 대학원에 다니면 파악이 가능하고, 필요하면 선배들에게 물어봐서 확실히 지도교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저는 석사 과정, 특히 1년차 학생에게는 거의 잔소리를 하지 않습니다. 평소에는 주간보고서(매주 월요일에 드롭박스에 한 장짜리 보고서를 올립니다)를 통해서 논문과 과제 진행사항을 파악하고, 몇 달에 한 번 정도 개별 회의 등을 통해서 석사과정 학생의 연구 진행사항을 파악합니다. 제가 직접 석사과정 학생에게 설명하거나 지시를 하면 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박사과정 2년 차 정도는 되어야 연구관련해서 제대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박사과정 학생을 배석시키거나 박사과정 학생에게 따..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