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하기33 [연구소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미세먼지 2차 생성 이번 5월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연구과제가 있습니다. 산업단지와 산림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서 오존과 미세먼지로 얼마나 전환되는지 파악하는 연구입니다. 앞으로 2년 정도 연구를 진행할 것 같아서 좋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대부분 중국에서 오거나 우리나라 산업단지와 자동차 등에서만 배출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상당량의 미세먼지가 산림 식생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숲은 항상 좋은 일만 할 것 같지만, 알고 보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침엽수/활엽수에서 배출되는 유기화합물질이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이나 OH 라디칼 등과 반응하여 오존과 미세먼지로 전환됩니다. 이러한 미세먼지 생성을 파악해야 미세먼지 관리 대책을 과학적으.. 2020. 5. 16. [연구소개] PM1.0 미세먼지 연구 시작 이 연구도 5월부터 우리 연구실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미 작년에 1차년도 연구를 진행했고, 이번에 2차년도 연구를 시작하는데 얼마 전에 아래 기사가 났습니다. 별도로 홍보도 안 했는데, 요즘 미세먼지에 관심이 많다 보니 기자들도 적극적으로 취재를 하는 듯 합니다. 언론에서는 극초미세먼지라고 표현했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영어로 극초미세먼지는 ultrafine particle인데, PM1.0이 아니라 PM0.1입니다. PM10 (coarse particle) PM2.5 (fine particle) 영어로 미세먼지로 표현하지만, 국내에서는 초미세먼지로 지칭 PM1.0 (submicron particle) PM0.1 (ultrafine particle) dongascience.donga.com/ne.. 2020. 5. 16. 학술회의 용어 정리 학술회의 관련 용어 정리했습니다. 네이버 백과사전 등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심포지엄symposium 특정한 문제에 대하여 두 사람 이상의 전문가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의견을 발표하고 참석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의 토론회. ‘집단 토론 회의’, ‘학술 토론 회의’로 순화. 컨퍼런스conference (보통 여러 날 동안 대규모로 열리는) 회의[학회] 세미나 Seminar 일반적으로 교육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회의를 말한다. 주로 강사와 참가자의 토론이나 강의로 진행되며 인원수는 대개 40명 전후이다. 콜로키움 라틴어로써 Colloquium, "모여서 말하기, 대화하기" 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일반적 의미로 공공의 장소에서 자유로의 의견교환을 말합니다. 1. 발제자가 주제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발표합니다... 2020. 5. 1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