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8

6월 14일 오전, 울산 미세먼지 농도 전국 최고 현재(2024년 6월 14일 오전 11시) 울산이 전국에서 PM2.5 농도가 가장 높습니다. 울산에서 여름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수시로 발생합니다.  현재 기온은 32도입니다. 여름철 고농도 현상은 대기정체, 2차 생성, 지역(산단) 배출 영향 등으로 발생합니다.    제 사무실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약간 뿌옇게 보이기는 하지만 울주군에서는 이 정도로 높은 농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대기모델 예보결과에서는 특별히 울산에서 고농도를 보이지 않습니다. 모델이 현재 대구와 울산의 고농도 현상을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4. 6. 14.
ArcGIS Pro 지도 축적별로 심볼 크기 설정하기 본 기능은 ArcMAP에는 없습니다. ArcGIS Pro를 사용할 때만 참고하세요.ArcGIS Pro에서 베이스맵을 위성영상을 선택하면 마치 구글지도를 사용하는 것처럼 연구대상 지역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물론 ArcMAP에서도 베이스맵을 위성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데 속도가 느린 편이라(특히, 노트북), 요즘은 ArcGIS Pro를 선호합니다.    아래 그림은 전국 도시대기측정소 지점입니다. 심볼 크기는 7pt입니다. 소축적으로 볼 때는 지점별 심볼 크기가 크게 보이지만, 대축적으로 갈수록(도시 규모) 심볼 크기가 작아서 불편할 때가 많습니다. 지도를 확대할수록 심볼 크기는 더 작아집니다. 축적별로 심볼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려면 Enable scale-based sizing을 선택합니다.  체크.. 2024. 6. 12.
방학 시작하면 대학원생이 할 일 오늘은 제 대학원 수업 종강일입니다. 다음 주에 기말고사를 보면 방학입니다. 대학원생은 방학에도 계속 연구를 해야 하고, 박사 고년차 학생들은 이미 학점을 채웠기 때문에 학기와 방학의 실질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그래도 방학이 되면 새로운 마음으로 연구를 하면 좋겠습니다.  제가 대학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방학이 시작되면 하는 일입니다. 영문법: 고등학교 때 공부했던 맨투맨 기본과 성문 기본/종합으로 문법 정리하기글쓰기: 과학기술 글쓰기와 영어 논문 작성 책 읽기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나 각종 프로그램 익히기정리: 책상, 책장, 컴퓨터 파일 정리하기연구: 논문 목록, 연구계획 마인드맵 업데이트학기 중 평일에는 다들 비슷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어서 주말과 방학 중에 얼마나 집중하느냐에 따라 본인 실력 향상과 연.. 2024. 6. 5.
R로 작성한 전국 미세먼지 지도 에어코리아 1년 측정자료 중에서 도시대기측정망 자료만으로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 지도를 그렸습니다(오른쪽 그림은 IDW로 보간한 그림입니다). 미세먼지 농도는 경기도와 충청도에서 높고, 울산과 부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미세먼지 절대 농도는 부울경이 낮지만 미세먼지로 인한 초과 사망률과 산업단지 주변 암 발생율 등을 고려하면 부울경 미세먼지 독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래는 겨울(1, 2, 12월)과 여름(6, 7, 8) 농도 지도입니다. 겨울에 울산에서는 파란색만 보이지만, 여름에는 빨간색과 노란색도 보입니다. 절대 농도는 여름에 낮지만, 울산에서는 여름에 다른 지역에 비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여름철 주풍(남서풍)으로 인해 산업단지에서 배출.. 2024. 6. 1.
아이가 환경공학을 전공하고 싶다고 해서 걱정인 학부모님께 대학생 아이의 환경공학분야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고민이 많은 학부모께서 댓글 남겼다가 삭제하고 계셔서 글을 남깁니다. 제 블로그에 댓글을 남기는 순간 스마트폰 어플에 댓글이 올라왔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그래서 제가 열심히 답장을 적었는데 그냥 댓글을 삭제한 경우도 있고, 어떻게 답을 할까 고민하고 답을 쓰려고 로그인을 하면 어느새 댓글이 삭제되어 있기도 합니다. 다른 학부모들이나 학생들도 참고할 내용이라서 별도의 글로 올립니다. 타 상위권 대학 학생이 자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상황이며, UNIST 대학원 진학 상담이 아닙니다.   일단, 첫 댓글에 대한 답장 다시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연락 감사합니다. 우선 환경분야가 너무 넓기 때문에 진로 등을 하나로 설명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다양한 이공계.. 2024. 5. 29.
MS 워드 커서 사라지는 문제 해결 논문을 쓰다 보면 종종 커서가 사라져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닙니다.  ChatGPT에게 물어봤고, F7로 해결했습니다. ChatGPT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커서가 사라지는 문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키보드 단축키 사용: 때로는 단순히 Alt 키를 누르거나 F7 (맞춤법 검사)을 누른 후 취소하면 커서가 다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드라이버 업데이트: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드라이버가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하세요.문서 확대/축소 조정: 문서의 확대/축소 레벨을 조정해 보세요. 때로는 화면 해상도 또는 표시 설정 때문에 커서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애드인 확인: 워드에 설치된 애드인 중 일부가 이 문.. 2024. 5. 21.
Openair 오존 8시간 평균 농도 계산 오존의 대기환경기준은 8시간 평균 60 ppb, 1시간 평균 100 ppb 이하입니다. 에어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1시간 평균(오후 2시 농도는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5분 간격으로 측정한 값을 평균한 값이며, 오후 2시 당시 농도가 아님)이므로 이 자료에서 100 ppb를 넘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8시간 평균 농도는 연구자가 직접 계산해야 합니다. Openair에서 아래 코드를 이용하면 8시간 평균 농도가 새 열(컬럼)에 생성됩니다. The openair book - 26  Utility functions (bookdown.org) mydata  울산 모 측정소 2019년 자료로 오존 그래프를 그렸습니다.  위 그래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ggplot(data = mydata, aes(.. 2024. 5. 18.
[나의 대학원 시절] 6. 분석 장비 이야기 유기 분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와 액체크로마토그래프(LC)입니다.저는 석사 1학년부터 상당히 많은 분석장비를 다루었습니다. 제 석사 논문에는 GC/ECD, GC/MS, HPLC, AA, UV-VIS,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다이옥신(PCDD/Fs), 염화벤젠, 염화나프탈렌(PCNs), PAHs, 중금속, 탄수화물,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가 나옵니다. 박사과정 중에는 ICP-OES와 IC를 이용하여 중금속과 이온도 분석했습니다. 제가 박사과정 중에 도입된 LC/MS/MS를 제외하고 당시 포항공대 환경분석센터 주요 장비는 거의 다 사용해 봤습니다. 아래 장비 사진은 제가 석사과정 중에 사용했던 국산(영린기기) HPLC입니다. 탈기장치(degasser)가 없어서 기기 사용 초기에 주.. 2024. 5. 17.
톤 단위 제대로 쓰기 단위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SI unit을 숙지해야 합니다.  요즘 신경 쓰는 단위는 톤입니다. 1000 kg은 1 미터톤(metric ton)이고, ton이 아니라 tonne이라고 써야 합니다. 1 tonne 또는 1 t으로 표기하면 1000 kg을 의미하는 것이고, 1 ton이라고 하면 미국에서는 907 kg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나라 배출량 자료를 1000 ton/year라고 표현하면 안 됩니다. 1000 t/y  또는 풀어서 1000 tonnes per year 등으로 표현해야 정확합니다.  시간의 경우, day는 d, hour는 h, minitue은 min으로 줄여서 사용하는데, year는 딱히 SI 단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도 yr나 y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수식.. 2024. 5. 13.
집중하는 방법 저는 어디에서나 집중을 잘 하는 편입니다. 노트북만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 학생들은 제가 식당, 커피숍, 기차역, 공항, 심지어 버스 정류장에서도 논문 고치는 모습을 봤을 겁니다. 그냥 앉아서 노트북을 펼 수 있는 장소만 있으면 됩니다.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지 않으면 제 능력으로는 이 정도 규모의 연구실을 운영할 수 없고 다른 연구자들을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남들보다 시간 투자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세상에 나보다 똑똑한 사람은 정말 많지만, 나보다 열심히 하는 사람은 별로 없게 꾸준히 노력하면 시간은 걸리지만 결국 해낼 수 있습니다.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집중하기 위해서는 잡생각이 없어야 합니다. 생각이 많으면 논문 쓰기가 어렵습니.. 2024.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