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8

SigmaPlot 열 제목 자동 입력 SigmaPlot은 다른 소프트웨어와 달리, 시트에 있는 열 제목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엑셀에서 복사한 표를  SigmaPlot에 붙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마우스로 클릭해서 제목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는데, 열이 많으면 일일이 수작업하기 힘듭니다.   시트에서 자료를 전체 선택하고,  Column and Row Titles 메뉴를 선택하고, 팝업창에서 Promote와 확인을 누르면 첫 행이 열 제목으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간단한 그룹 비교 등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고, 다변량 자료인 경우에 유용합니다. 2024. 9. 20.
환경 연구의 가치: 학문을 넘어 실질적 변화를 향하여 제가 대학원 다닐 때 환경 연구 관련해서 가장 고민스러웠던 것이 "이 연구를 해서 뭐가 바뀔까?"였습니다.  대학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하다가 대학원에서 공학을 전공하면서 이런 고민이 더 커졌습니다. 제가 대학 4년 동안 배웠던 다양한 전공과목들은 모두 과학이었고, 공학 연구(눈에 보이는 무언가를 개발하거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등)를 접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석사과정 중에 환경공학을 전공하면서 미생물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제거 관련 연구를 했는데, 내가 하는 실험결과가 현업(기업체와 환경오염 현장)에 쓰일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회의적인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실험실에서는 오염물질 제거가 비교적 쉽고 학술적으로는 좋은 주제이지만, 현장에 쓸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에 박사과정에서는 연구주제를 .. 2024. 9. 19.
HYSPLIT PC 버전 웹 브라우저 문제 해결 HYSPLIT 결과나 도움말이 보이지 않고 아래 경고창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웹 브라우저가 없는 PC는 없으므로, 어떤 이유에서인지 브라우저 실행파일 경로가 삭제되었기 때문입니다.    메뉴에서 Advanced → Configuration Setup →  Set Deirctories를 선택합니다. 아래 창에 브라우저 실행파일 경로를 입력합니다. Edge 경로는 C:\Program Files (x86)\Microsoft\Edge\Application\msedge.exe 입니다.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서 아래 메뉴와 같이 예시를 실행합니다. 웹브라우저에 결과가 잘 보입니다. 2024. 9. 7.
HYSPLIT PC 버전 해상도 변경 요즘 컴퓨터 모니터 해상도가 높아져서 오래 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너무 작게 보입니다. 모니터가 크면 클수록 더 작게 보입니다.  HYSPLIT PC 버전을 실행했을 때 크기가 너무 작으면 바로가기 아이콘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속성창을 열고 호환성 → 높은 DPI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아래 빨간색 박스에 표시된 대로 설정을 변경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행창이 커져서 작업하기 조금 편합니다. 2024. 9. 7.
논문 초안을 종이에 출력해서 수정해야 하는 이유 요즘은 이메일로 문서를 보내고 논문도 온라인으로만 출간하는 학회가 많아서 교내 우편함이 비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는 일부 학회지와 분석기기업체 홍보 우편물 정도만 오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우편함을 자주 비워야 했고, 특히 학과장 시절에는 신문(중앙지와 지방지)이 사무실로 매일 배달이 되어서 종이를 버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옛날에는 논문도 출력해서 많이 읽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논문 PDF 파일의 글자가 너무 작아져서 인쇄하면 논문 읽기가 힘들어서 컴퓨터 화면으로 읽고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는 아이패드로 논문과 보고서를 많이 봤는데 눈이 너무 피곤해져서 지금은 거의 컴퓨터로만 논문을 읽습니다.   그러나 논문 초안을 수정할 때는 여전히 종이에 출력하고 있습니다(글자 크기가 12 pt라서 잘 .. 2024. 8. 28.
굴뚝 시료채취 동남아 개도국 대상의 다이옥신 굴뚝 시료 분석 강의자료를 준비하다가 아래 기사를 찾았습니다. 환경부뿐만 아니라 민간업체에서도 굴뚝 시료채취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굴뚝 올라가 시료 채취할 석박사급 찾습니다"... 환경부, 구인난에 골머리 | 한국일보 (hankookilbo.com) "굴뚝 올라가 시료 채취할 석박사급 찾습니다" | 한국일보"이 정도면 호텔급이에요. 굴뚝 외벽 계단으로 올라가야 하는 사업장이 얼마나 많은데요. 발전소는 50m 높이까지 올라가야 하는데, 화장실은 갈www.hankookilbo.com 굴뚝 시료채취는 일반 환경대기 채취와 차원이 다릅니다. 전문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기도 하고 매우 위험하고 힘든 일입니다. 열악한 환경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고 식사도 제대로 못하기도 합니.. 2024. 8. 21.
논문 함부로 작성하지 않기 환경분석화학/대기환경 분야에서는 학위과정 중에 SCI 논문은 연간 1편, 포닥부터는 연간 2편 정도를 주저자로 작성하면 충분합니다. 논문을 많이 쓰면 좋겠지만, 논문 편수를 늘리기 위해서 단기간에 논문을 함부로 쓰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논문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논문을 함부로 쓴다는 것은 아래 두 가지를 의미합니다.  1. 습작 수준으로 대충 글쓰기를 한 경우학술지에 투고한 논문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오탈자와 문법 오류가 많음투고 서식을 무시하고 일관성 없이 작성엑셀 기본 서식으로 대충 그린 그래프2. 해당 연구주제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논문 몇 편 대충 초록이나 결론만 읽고 연구 추세/동향이라고 정리해당 참고문헌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특정 문장만 확인해서 논리 전개객관적인 .. 2024. 8. 12.
연구실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까? UNIST는 자율전공제입니다. 학부생이 아무 전공이라도 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비인기 학과는 학생부족으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UNIST 학부 입학 정원 400명 중에서 우리 학과로 진입하는 2학년 학생은 10명 내외입니다. 10년 전과 완전히 다른 심각한 수준입니다. 4학년 10명 중에서 5명이 대학원에 진학한다고 가정하고 학과 전임교원이 22명이므로, 자대생이 우리 연구실에 진학할 가능성은 산술적으로 4~5년에 한 명입니다. 앞으로 자대생이 우리 연구실에 올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고려해서 연구실을 운영해야 합니다.  국내 타대학에서라도 우리 연구실에 진학을 많이 하면 좋은데, 성적이 우수한 타대생들도 대학원 진학을 점점 기피합니다. 반면,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에서는 진학.. 2024. 8. 6.
포항공대신문 기고문 - 20년 전 연구주제 2005년에 포항공대신문으로부터 기고 요청을 받아서 작성한 글입니다. 약 20년 전에 제가 연구하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연구와 게재 논문을 고려할 때, 지난 20년 동안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 생각해 보세요.  다양한 환경매체와 다수지점에서의 장기 모니터링 필요 - 포항공대신문 (postech.ac.kr) 2024. 8. 5.
[나의 대학원 시절] 7. 포항의 여름 울산에서는 일주일 넘게 폭염 주의 문자가 오고 있습니다. 아무리 덥다해도 하루 종일 직사광선을 받은 포항공대 벽돌 기숙사의 밤을 생각하면 지금 이 더위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요즘은 기숙사 방마다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고 들었는데, 제가 포항공대에 다니던 1999~2005년까지 층별 휴게실에만 에어컨이 있었습니다.   연구실에서 밤 11시~12까지 있다가 기숙사에 가서 방 문을 열 때 그 뜨거운 기운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빨간 벽돌 기숙사는 보기에는 고풍스럽지만 한여름에는 최악이었습니다.샤워하고 선풍기를 켜고 겨우 잠을 청해도 중간에 계속 자다깨다를 반복했습니다. 너무 힘들면 기숙사 휴게실에 가서 몸을 식혔다가 다시 방에 들어오곤 했습니다. 아침에 겨우 일어나서 샤워를 하고, 연구실에 가기 위해 78계단.. 2024.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