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널2

Chemosphere - Web of Science index 삭제 Chemosphere는 다이옥신을 비롯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련 가장 기본적인 학술지입니다. 제가 1999년에 석사과정에 입학했더니 연구실에서 ES&T와 Chemosphere를 구독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Chemosphere 수준이 높지 않아서(당시, 대부분의 환경관련 저널 수준이 높지 않았습니다), 뭐 이런 수준의 논문이 게재되지? 라는 의문이 생기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최고수준의 환경관련 전문 학술지는 화학/지구과학 관련 학회 등에서 발간했습니다. 그런데 2000년대 중후반 이후에는 Elsevier 출판사 학술지들이 약진하여 IF 상위권 학술지로 포진하게 됩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별로라고 생각했던 학술지인데 데스크 리젝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Chemosphere는 2023년 IF.. 2025. 1. 14.
시력이 좋아야 논문을 잘 쓸 수 있는 이유 오늘 어제 게재확정된 논문 proof 메일이 와서 출력해서 오탈자를 보고 있습니다. 출력한 논문의 글자가 너무 작아서 우선 대학원생들에게 검토해 보라고 했습니다. 다행히 많이 고칠 부분은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 저널 논문을 출력하면 글자가 작아서 논문 읽기가 너무 힘듭니다. 논문을 제대로 읽으려면 컴퓨터 화면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출력해서 밑줄과 형광펜 표시하면서 읽고 또 읽고 논문이 너덜너덜 할 때까지 반복해서 읽어야 제대로 논문 내용을 파악하고 해당 논문의 주요 문장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소설책 읽듯이 읽고 넘어가면 논문을 제대로 읽은 것이 아닙니다. 물론 컴퓨터나 태블릿 PC로 읽으면서 형광색이나 메모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박사 고년차는 이렇게 논문을 읽으면 됩니다. 그러나 석사과정과 박.. 2023.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