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연구에서는 수동대기채취기(PUF-PAS)의 시료채취율(sampling rate)을 상수로 사용했습니다(3.5 m3/day 등). 그러나 지점별로 기상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지점별로 별도로 시료채취율을 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오염원을 파악하거나 보고서용으로는 기존 방법 사용해도 무방).
주말부터 3일 동안 엑셀과 R로 서울시 기상자료 가공하고, 매트랩으로 수동대기채취기 시료채취율(m3/day)을 계산했습니다(대상물질: PCBs).
매트랩 코드 다운로드: https://www.rsc.org/suppdata/c7/em/c7em00360a/c7em00360a2.zip
아래 그림은 AWS 기상측정소와 PAS 시료채취지점 위치를 표시하고 개별 AWS와 PAS 지점을 매칭하는 ArcGIS Pro 화면입니다. 거리상으로 가장 가까운 곳을 우선적으로 매칭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기상청 AWS 기상관측소별로 계산한 시료채취율 공간분포입니다. 범례는 생략했습니다.
AWS 기상관측소와 실제 PAS 시료채취지점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PAS 지점에 해당하는 시료채취율을 별도로 산정해야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Extract Values to Points 도구를 이용해서 PAS 지점별로 시료채취율을 추출했습니다(좌측 하단 그림). AWS와 PAS 지점의 최단 거리를 고려하여, AWS 관측소의 시료채취율을 PAS 지점의 시료채취율로 할당했습니다(우측 하단 그림).
(a) AWS 관측소 보간법 결과에서 추출한 PAS 지점별 시료채취율 (b) AWS 관측소와 PAS 지점 최단거리를 매칭한 시료채취율
결론
위의 두 결과가 전반적으로 비슷합니다. 보간법 자체의 불확도를 고려할 때 최단거리 AWS 관측소 자료로 할당하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해도 될 것 같습니다.
'자료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패키지 함수 편집하기 (0) | 2022.11.19 |
---|---|
파이썬 기초부터 시작해서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책 소개 (0) | 2022.11.13 |
R과 Origin Pro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PCA) (0) | 2022.10.01 |
파이퍼 다이어그램(Piper diagram) (0) | 2022.09.17 |
R 패키지 ggThemeAssist로 ggplot2 그래프 쉽게 수정하기 (0) | 2022.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