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다 좌표계 표기 방법 등이 달라서 너무 혼란스러워서 ChatGPT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좌표계 정리
1. 지리좌표계 (Geographic Coordinate System, GCS)
좌표계 이름EPSG 코드기준 타원체기준 원점 (Datum)특징
WGS 84 | 4326 | WGS84 | WGS84 | GPS에서 사용, 전 세계 표준 |
Korea 2000 | 4737 | GRS80 | ITRF2000 | 한국에서 공식 사용 |
Korean 1985 | 4162 | Bessel 1841 | Tokyo Datum | 과거 사용, 일본 영향 |
📌 현재 한국의 공식 지리좌표계는 Korea 2000 (EPSG:4737)이며, GPS는 WGS84(EPSG:4326)를 사용!
2. 투영좌표계 (Projected Coordinate System, PCS)
📍 UTM-K 좌표계
좌표계EPSG 코드중앙 경선기준 타원체적용 지역
UTM-K 52N | 5178 | 129°E | GRS80 | 한국 동부 (127°E~) |
UTM-K 51N | 5179 | 123°E | GRS80 | 한국 서부 (126°E 이하) |
📌 주로 군사, 항공, 항만 분야에서 사용
📍 국가 TM 좌표계 (기본 버전)
좌표계EPSG 코드중앙 경선기준 타원체적용 지역
서부 원점 (West Belt) | 5180 | 125°E | GRS80 | 인천, 충남, 전북 일부 |
중부 원점 (Central Belt) | 5181 | 127°E | GRS80 | 서울, 경기, 강원 일부 |
동부 원점 (East Belt) | 5182 | 129°E | GRS80 | 강원 일부, 경북, 부산 |
제주 원점 (Jeju Belt) | 5183 | 126°30'E | GRS80 | 제주도 |
📌 EPSG:5181 (127°E) 좌표계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
📍 국가 TM 좌표계 (2010 개정 버전)
좌표계EPSG 코드중앙 경선기준 타원체적용 지역
서부 2010 | 5185 | 124°E | GRS80 | 인천, 충남, 전북 일부 |
중부 2010 | 5186 | 126°E | GRS80 | 서울, 경기, 강원 일부 |
동부 2010 | 5187 | 128°E | GRS80 | 강원 일부, 경북, 부산 |
동해 2010 | 5188 | 130°E | GRS80 | 독도 및 동해 일부 |
📌 2010 개정 버전에서는 중앙 경선이 기존보다 1도 서쪽으로 이동!
(EPSG:5181은 127°E, EPSG:5186은 126°E → 변환 시 주의 🚨)
✅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좌표계
사용 목적좌표계EPSG 코드
GPS 및 전 세계 표준 | WGS 84 | 4326 |
한국 공식 지리좌표계 | Korea 2000 | 4737 |
일반적인 TM 좌표계 (중부원점 127°E) | Korea 2000 / Central Belt | 5181 |
2010 개정 TM 좌표계 (중부원점 126°E) |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 5186 |
군사, 항공, 항만 분야 (UTM-K) | UTM-K 52N / 51N | 5178 / 5179 |
📌 EPSG:5181과 EPSG:5186은 중앙 경선(127°E vs. 126°E)이 다르므로 변환 시 주의!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cGIS Pro 디스플레이/렌더링 문제 해결 (0) | 2025.03.02 |
---|---|
ArcGIS Pro 지도 축적별로 심볼 크기 설정하기 (0) | 2024.06.12 |
ArcGIS Pro 개인 라이센스(personal use) 중단 (0) | 2024.03.30 |
ArcGIS 지오코딩 도구 (0) | 2023.08.13 |
ArcGIS Pro 색 구성표 선택 (0) | 2022.12.11 |
댓글